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3

8월 12일 : 시대의 균형을 고민한 작가 - 토마스 만의 사망 1955년 8월 12일, 독일 작가 토마스 만(Thomas Mann)이 스위스 취리히에서 향년 80세로 사망했다. 《마의 산》,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요셉과 그 형제들》을 남긴 그는 20세기 독일 문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소설가이자 사상가였던 토마스 만은 문학을 통해 인간 존재의 내면과 시대의 도덕적 갈등을 깊이 있게 탐색했다. 그는 격변의 시대를 살면서 예술과 정치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지성의 책임을 모색했던 인물이었다. 병든 유럽을 응시한 서사토마스 만의 문학은 전통적인 사실주의 서사와 구별되는 복합적인 구조를 갖는다. 그는 신화, 철학, 음악, 정신분석 등 다양한 지적 담론을 작품 속에 유기적으로 통합했다. 대표작 《마의 산》은.. 2025. 7. 31.
8월 11일 : 행위가 곧 예술 - 잭슨 폴록의 사망 1956년 8월 11일 밤, 미국 뉴욕 롱아일랜드의 이스트햄턴 외곽 도로에서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은 술에 취한 채 차를 몰고 있다가 나무를 들이받고 숨졌다. 44세의 나이였다. 물감은 흘러내리고, 작가는 캔버스를 걷는다잭슨 폴록은 생전에 이미 미국 미술계의 주목을 받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의 사후, 그가 시도했던 회화의 개념은 단순한 스타일을 넘어, 예술의 철학과 실천을 바꾸어 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물감은 캔버스에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떨어지고’, 작가는 화면 앞에 서는 것이 아니라 ‘걷는다’. 그는 예술의 주체가 ‘작품’이 아닌 ‘행위’일 수 있음을 선언한 최초의 화가였다. 잭슨 폴록 이전까지 대부분의 화가는 캔버스를 세워두고 붓으로 형태를 그렸다. 그러나 그는 바닥에 캔.. 2025. 7. 30.
8월 10일 : 전기 기타의 날 - 최초의 전기 기타 특허 등록 1937년 8월 10일, 미국에서 전기 기타가 처음으로 특허를 획득하며 음악사의 전환점이 열렸다. 프라잉 팬 전기 기타와 마그네틱 픽업 기술이 어떻게 재즈, 블루스, 록 음악의 기반이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전기의 울림으로 세상을 흔들다루이 암스트롱이 트럼펫으로 음악의 자유를 부를 무렵, 또 다른 악기의 혁명이 조용히 시작되고 있었다. 그것은 손끝에서 흐르는 전기였고, 바로 기타였다. 1930년대 미국, 재즈가 도시의 밤을 지배하던 시대였다. 하지만 이 뜨거운 무대에서 기타는 언제나 한발 물러서 있었다. 관악기의 폭발력에 밀려, 현악기의 아름다운 선율은 뒷자리로 밀려나는 일이 다반사였다. 여기, 이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 한 남자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조지 뷰챔프(George Be.. 2025. 7. 29.
8월 9일 : 소련의 베토벤 - 쇼스타코비치의 사망 '소련의 베토벤'이라 불린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가 1975년 8월 9일 사망했다. 스탈린 체제의 검열과 억압 속에서도 음악으로 말했던 그의 생애와 유산을 살펴 봅니다. 쇼스타코비치의 생애, 혹은 이중 언어의 예술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는 1906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75년 8월 9일에 모스크바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20세기 클래식 음악에서 가장 역설적인 인물 중 하나다. 누구보다도 전통적인 형식을 충실히 따랐고, 누구보다도 전통을 전복하는 표현을 감행했다. 소련의 공식 음악가였으면서 동시에 체제에 저항하는 숨은 비평가였다. 그의 삶은 스탈린 체제와 거의 겹친다. 그는 이 굴곡의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 아무 것도 말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는.. 2025. 7. 28.
8월 8일 : 예술은 과학이 될 수 있는가 - 에른스트 베른하임의 탄생 에른스트 베른하임(Ernst Bernheim, 1850–1942)은 예술사 연구의 과학화를 이끈 역사학자로, 그의 방법론은 오늘날 미술사와 문화연구의 기초를 세웠다. 8월 8일은 그가 탄생한 날이다. 예술은 분석의 대상일까?이 질문은 단순한 수사적 표현이 아니다. 예술 작품을 단지 미적 감동의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회적 산물로 읽고, 그 배경과 형식을 분석하며, 역사적 흐름 속에서 위치 지우는 작업은 오늘날 예술사 연구의 핵심이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법의 가장 기초적인 틀을 마련한 이가 바로 독일의 역사학자 에른스트 베른하임이다. 역사 연구의 도구화를 이끈 인물1850년 8월 8일, 독일 그로스뢰어스도로프(Grossröhrsdorf)에서 태어난 베른하임은 역사학이라는 학문에 실증적 방.. 2025. 7. 27.
8월 7일 : 빛의 시인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사망 1941년 8월 7일 서거한 인도의 시인 타고르. 그의 문학, 교육, 예술, 한국과의 인연까지, ‘빛의 시인’이 남긴 유산을 되짚습니다. 인도 문학의 별이 지다1941년 8월 7일, 인도 캘커타 북쪽 조라상코 저택 2층. 인도 근대 문학의 아버지, 벵골의 음유시인, 동양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생을 마감했다. 향년 80세. 그의 마지막은 평온했지만, 그에 이르기까지는 지난한 고통이 있었다. 1937년과 1940년, 두 차례에 걸쳐 혼수상태를 경험한 뒤로 그의 건강은 악화일로였지만, 그럼에도 그는 펜을 놓지 않았다. 인도는 물론 세계 각지의 애도 속에 그의 시신은 전통 의식에 따라 가족의 손으로 장례를 치른 뒤, 갠지스 강변에서 화장되었다. 그의 죽음은 한 문인의 타계를 넘어,.. 2025. 7. 25.
8월 6일 : 비판의 미학 – 테오도어 아도르노의 사망 비판이론의 중심에 있었던 철학자 아도르노는 예술과 음악, 철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사유의 지평을 열었다. 1969년 8월 6일 그의 죽음을 통해 예술의 본질을 되돌아본다. 비판의 사유를 멈추지 않았던 사상가1969년 8월 6일, 독일 철학자 테오도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는 스위스의 휴양지 치르나우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평소 지병을 앓고 있었던 그는 여름을 맞아 휴식을 취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강의와 집필을 병행하고 있었다. 철학과 예술의 접점에서 활동했던 그는 '프랑크푸르트학파'를 대표하는 비판이론가이자 사회철학자, 그리고 깊이 있는 음악 비평가였다. 그의 사유는 특정 분야에 머물지 않고 철학, 사회학, 미학, 음악이론을 넘나들며 20세기 지성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 2025. 7. 22.
8월 5일 : 소비된 아름다움의 소외 - 마를린 먼로의 사망 1962년 8월 5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브렌트우드 자택에서 마를린 먼로(Marilyn Monroe)는 침실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그녀는 전화기를 움켜쥔 채 침대에 엎드려 있었고, 주변에는 수면제 병들이 흩어져 있었다. 부검 결과 위 속에는 바르비투르산염 성분이 치사량 이상으로 발견되었고, 수면제 복용에 의한 약물 중독으로 인한 ‘자살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녀의 죽음을 둘러싼 여러 정황은 지금까지도 명확하게 결론지어지지 않고 있다. 타살 가능성, 정치적 외압, 음모론 등 수많은 해석과 의혹이 난무하는 가운데, 하나의 분명한 사실은 남았다. 당대 가장 유명한 여성 중 한 사람이 고립된 공간에서 홀로 세상을 떠났다는 점이다. 그녀의 사망 보도는 단순한 연예 기사 이상의 반향을 일으.. 2025. 7. 21.
8월 4일 : 재즈의 아버지 - 루이 암스트롱의 탄생 흑인 문화의 심장에서 태어난 소년1901년 8월 4일, 루이 암스트롱(Louis Armstrong)은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곳은 빈민가였고, 아버지는 가족을 버리고 떠났으며, 어머니는 생계를 위해 매춘에 가까운 일을 하며 어린 루이를 키웠다. 그런 가난과 결핍 속에서 자란 그에게 음악은 생존의 수단이자 유일한 위안이었다. 그는 고아원에서 처음으로 코넷(작은 트럼펫)을 손에 넣었고 그것이 그의 삶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었다. 뉴올리언스의 거리에서 울려 퍼지던 행진곡, 블루스, 가스펠은 그에게 자연스러운 환경이었고 그는 이 음악을 그대로 자기 심장에 새겨 넣었다. 즉흥성과 감정의 언어, 재즈루이 암스트롱이 등장하기 전까지, 미국에서 재즈는 주로 집단 즉흥 연주에 의존하는 .. 2025. 7. 20.
8월 3일 : 세기의 디바 - 마리아 칼라스의 비상 1947년 8월 3일, 마리아 칼라스는 베로나에서 《조콘다》를 불러 전 세계 무대에 등장했습니다. 이날 밤은 오페라사에서 가장 극적인 데뷔 중 하나로 남았습니다. 세기의 소프라노 - 마리아 칼라스의 비상1947년 8월 3일, 이탈리아 베로나의 고대 원형극장인 아레나 디 베로나(Arena di Verona)에 모인 관객들은 실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밤을 맞이했다. 이날 무대에 오른 젊은 소프라노는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당시 23세의 미국 태생 그리스계 성악가였다. 그는 아밀카레 폰키엘리(Amilcare Ponchielli)의 오페라 《조콘다(La Gioconda)》에서 주연 배우를 맡아 극적인 서정성과 불꽃 같은 드라마를 가득 담은 연기를 펼쳤다. 그것은 단순한 공연 이상의 사건이.. 2025. 7. 19.
8월 2일 : 현해탄의 비극 - 김우진과 윤심덕의 마지막 항해 현해탄의 비극, 김우진과 윤심덕의 마지막 항해1921년 8월 2일 새벽,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조선으로 향하던 여객선 요코하마마루(橫濱丸) 호의 갑판 위. 두 명의 젊은 예술가가 실종되었다. 연극운동가이자 문학비평가인 김우진. 조선 최초의 여성 소프라노이자 신여성인 윤심덕. 이들이 현해탄에 투신하여 생을 마감한 사건은 이후 100년이 넘도록 한국 근대 문화사와 대중의 상상력을 관통하는 상징이 되었다. 당시 언론은 이를 “예술적 사랑의 순교”라 표현했고, 일부는 “현실을 감당할 수 없었던 낭만주의적 일탈”로 보았다. 그러나 두 사람의 죽음은 단지 비극적 사랑 이야기로 포장되기엔 너무 복합적인 의미를 품고 있다. 이는 사랑과 죽음, 이상과 절망, 예술과 시대의 불화가 응축된 사건으로 해석되고 있다. 서로를.. 2025. 7. 18.
8월 1일 : '모비딕'의 허먼 멜빌 탄생 1819년 8월 1일, 미국 뉴욕시에서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이 태어났다. 그는 사후에 미국 문학사에서 심오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모비딕(Moby-Dick)》을 남겼지만, 생전에 그는 실패한 작가로 분류되었다. 동시대 독자와 비평가는 그의 실험적인 문체와 상징 체계를 이해하지 못했고, 평생 가난과 문학적 고립 속에 살아야 했다. 멜빌은 상업가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부친의 연이은 사업 실패와 사망으로 12세 무렵부터 생계를 위한 노동에 내몰렸다. 교사, 은행 사무원, 농장 인부 등 다양한 일을 전전하다가 1839년부터 일반 상선의 선원으로 시작해 1941년 포경선에 승선해 남태평양을 항해했다. 그는 20대에 태평양의 낯선 섬들과 원주민 문화를 직접 경험했고, 이러한 체험은 작품 .. 2025. 7. 17.
7월 31일 : '피아노 독주회'의 창시자 - 프란츠 리스트의 사망 1886년 7월 31일, 독일의 작은 도시 바이로이트(Bayreuth)에서 한 시대를 풍미한 거장의 숨결이 멎었다.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낭만주의의 화신이자, 연주회 형식의 혁신가이며, 교향시라는 새로운 장르의 창시자였고, 음악으로 사회와 인간을 꿰뚫어보려 했던 사상가였다. 그의 사망은 단지 한 인물의 종말이 아니라, 유럽 낭만주의 음악이 한 시기를 마무리하는 상징적 사건으로 여겨진다. 리스트는 그해 여름, 사위인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가 세운 바이로이트 음악제에 참석하기 위해 머물고 있었다. 19세기 유럽 예술의 중심 인물들이 모이는 이 축제는 그에게는 자랑스러운 무대였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곳에서 병세가 악화되어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당시는.. 2025. 7. 16.
7월 30일 : "나는 반주자다" - 제럴드 무어의 탄생 제럴드 무어(Gerald Moore, 1899-1987)는 오늘날 ‘반주자’라는 단어에 담긴 이미지와 역할을 송두리째 바꿔놓은 인물이다. 1899년 7월 30일,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그는 ‘성악가의 그림자’로 치부되던 피아노 반주를 하나의 독립된 예술로 승화시켰다. 오늘날 많은 음악 애호가들이 리트(Lied)를 듣고 눈을 감으며 '노래와 피아노의 대화’를 떠올릴 수 있는 것은 그가 마련한 예술적 토대 덕분이다. 가장 이상적인 반주제럴드 무어는 피아노를 배운 후 1920년대부터 성악가들과 협연을 시작했다. 그는 음악 공연에 있어 정당한 존중과 대우를 받지 못했던 반주에 대한 세상의 인식을 바꾸는데 일생을 바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가장 이상적인 반주는 들리되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역설적인.. 2025. 7. 15.
7월 29일 : 별이 빛나는 밤 - 빈센트 반 고흐의 사망 1890년 7월 29일,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는 프랑스의 작은 시골 마을 오베르쉬르우아즈(Auvers-sur-Oise)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그해 봄, 정신병원에서 퇴원한 뒤 더 조용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회복과 창작을 이어가고자 이곳에 거처를 정했다. 그러나 약 두 달 뒤, 7월 27일 그는 가슴에 총상을 입고 쓰러졌고 이틀 뒤 숨을 거두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는 37세였다. 반 고흐는 생전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화가였지만, 사후 불과 수십 년 만에 예술사의 지형을 바꿔놓은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그의 삶은 결코 예외적인 천재의 신화나 비극으로만 환원될 수 없다. 그는 치열한 관찰자였고, 철학적인 실천가였으며, 예술을 통해 존재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했던 탐구.. 2025. 7. 14.
7월 28일 : '음악의 아버지'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사망 한 시대를 마감한 음악가의 마지막 순간1750년 7월 28일, 독일의 라이프치히에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가 세상을 떠났다. 당시 그의 죽음은 지역 사회에서조차 큰 파장을 일으키지 않았지만, 지금은 이날을 바로크 음악의 종언으로 기억한다. 그가 남긴 음악은 이후 수백 년 동안 서양 음악사의 중심축이 되었고, 바흐라는 이름은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았다. 바흐는 말년에 심각한 건강 악화를 겪었다. 백내장으로 시력을 잃은 그는 1750년 봄 두 차례에 걸쳐 눈 수술을 받았지만, 수술은 실패로 돌아갔다. 점차 쇠약해진 그는 같은 해 여름 폐렴성 합병증으로 생을 마감했다. 그러나 그의 죽음 직전까지도 작곡은 계속되었고, 특히 《푸가의 기법》은 미완이지만 음악사상 가장 .. 2025. 7. 13.
7월 27일 : '황금 트럼펫' - 마리오 델 모나코의 탄생 테너의 새로운 표준이 된 남자1915년 7월 27일,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한 남자아이가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마리오 델 모나코(Mario Del Monaco). 이 이름은 훗날 오페라 무대에서 ‘불꽃 같은 목소리’의 상징으로 기억되며, 20세기 드라마틱 테너의 새로운 기준이 되었다. 그의 목소리는 단단하고 육중했으며, 무대를 압도하는 존재감으로 세계 오페라 팬들의 가슴을 울렸다. 델 모나코는 오페라 무대를 낭만적 환상 속 공간이 아니라, 감정과 폭발력이 충돌하는 전장의 한가운데로 바꾸어 놓았다. 그가 무대에 서는 순간, 관객은 감미로운 선율보다도 거대한 감정의 힘에 먼저 압도되었다. CC BY-SA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4.0/ 베르디와.. 2025. 7. 12.
7월 26일 : “예술은 어디에서 오는가?” - 카를 융의 탄생 예술은 어디에서 오는가?이 질문에 인류는 오랫동안 신의 영감, 천재성, 기술, 시대정신이라는 다양한 대답을 내놓아왔다. 그러나 20세기 초, 한 사상가는 인간 내면에서 그 답을 찾기 시작했다. 그는 예술을 감정의 표출이나 기술적 성취로 보지 않았다. 오히려 예술은 인간 정신의 심연, 곧 무의식이 의식 세계로 전해지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그 사상가의 이름은 카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년 7월 26일 스위스 케슬(Kesswil)에서 태어난 그는 심리학이라는 지도를 들고 인간 정신이라는 미지의 세계를 탐험한 개척자였다. 예술, 무의식의 언어로 다시 읽다융은 인간의 마음속에 ‘개인적 무의식’을 넘어선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2025. 7. 11.
7월 25일 : 인조인간을 꿈꾼 시인 - 빌리에 드 릴아당의 사망 19세기 말의 시인이 남긴 ‘AI 여성’의 원형1894년 7월 25일, 프랑스의 한 시인이 세상을 떠났다. 그의 이름은 오귀스트 빌리에 드 릴아당(Auguste Villiers de l’Isle-Adam). 당시 프랑스 문단에서는 상징주의 운동이 절정에 달하고 있었고, 보들레르(Baudelaire), 말라르메(Mallarmé), 베를렌(Verlaine) 같은 시인들이 우아한 상징과 모호한 감성을 무기로 문학적 실험을 이어가고 있었다. 그들 사이에서 빌리에 드 릴아당은 한편으로는 ‘시적 몽상가’로, 또 한편으로는 ‘기이한 예언자’로 간주되었다. 그의 대표작 《미래의 이브(L’Ève future)》는 1886년 발표된 소설로, 이 작품은 놀랍게도 ‘안드로이드 여성’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문학으로 평.. 2025. 7. 10.
7월 24일 : 아르누보의 거장 - 알폰스 무하의 탄생 여성성과 자연, 예술의 경계를 지우다 1860년 7월 24일, 오늘날의 체코 지역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이반치체(Ivančice)라는 작은 마을에서 한 예술가가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 그는 유럽 전역을 아우르며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아르누보(Art Nouveau)’라는 새로운 미술 사조의 대표 작가가 되었고, 이후 그래픽 아트, 광고 디자인, 심지어 현대 패션과 타투 문화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무하는 오늘날의 대중에게는 주로 긴 머리카락을 늘어뜨린 여성상과 꽃무늬 장식, 유려한 곡선의 포스터로 알려졌지만, 단순한 장식 미술가로만 보기에는 그 깊이가 남다르다. 그가 만들어낸 아르누보 양식은 단지 하나의 ‘스타일’이 아니라, 예술이 일상과 만나는 방식.. 2025. 7. 10.
7월 23일 : "나는 미치지 않았다" - 찰스 도일의 사망 코난 도일의 아버지, 찰스 도일셜록 홈즈의 창조자로 널리 알려진 작가 아서 코난 도일(Arthur Conan Doyle)의 아버지라는 말은 찰스 도일(Charles Altamont Doyle)의 이름을 언급할 때 가장 먼저 등장하는 수식이다. 그러나 이 한 문장만으로 그를 정의하기에는 그의 삶과 예술은 너무나 파란만장하고 독특하며 신비로웠다. 그는 삽화가이자 수채화 화가였으나, 빅토리아 시대 후반부의 영국에서 정신병원에 수감된 채 생애의 마지막 20여 년을 보내야 했다. 하지만 바로 그 시기, 그는 일상과 이성을 넘어선 세계를 끊임없이 종이에 옮기며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해 나갔다. 그의 사망일은 1892년 7월 23일. 오늘, 우리는 찰스 도일의 묘하게 매혹적인 시선을 통해 예술과 광기, 환상의 경.. 2025. 7. 10.
7월 22일 : 아이와 예술을 잇다 - 알렉산더 칼더의 탄생 예술가 가문의 아들로 태어난 소년 칼더1898년 7월 22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로턴(Lawton)에 한 아이가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 훗날 ‘움직이는 조각’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이 혁신적인 예술가는 예술가 가문에서 자라났다. 그의 아버지 알렉산더 스털링 칼더(Alexander Stirling Calder)는 공공 조각가였고 어머니는 초상화 화가였다. 어린 시절부터 그는 흙, 철사, 나무 조각 등 주변 사물들을 만지작거리며 조형 감각을 키워나갔다. 칼더는 기술과 예술 모두에 관심이 많았고 일찍이 공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손끝으로 세상을 창조하는 욕망은 그를 미술로 이끌었다. 파리에서 본 미로, 몬드리안, 아르프 등의 예술은 그의 감각을 자극했고.. 2025. 7. 9.
7월 21일 :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탄생 헤밍웨이, 20세기 문학의 아이콘이 태어나다1899년 7월 21일,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파크에서 어니스트 밀러 헤밍웨이(Ernest Miller Hemingway)가 태어났다. 당시 그는 의사였던 아버지와 음악 교육자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자라며 자연과 문화, 신체적 체험과 정서적 감수성을 동시에 접할 수 있는 환경 속에 있었다. 어린 시절부터 낚시와 사냥, 캠핑을 즐겼던 그는 자연 속에서 고독과 생존을 배우며 자랐고, 이러한 감각은 훗날 그의 문학 세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정서적 토대가 된다. 헤밍웨이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이미 시와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으며, 졸업 후에는 신문기자로 일하며 문장에 대한 간결성과 명료함을 훈련받았다. ‘헤밍웨이 스타일’ : 간결함으로 말하는 깊이헤밍웨이의 문체는 한마디로.. 2025. 7. 9.
7월 20일 : 몸의 예술가 - 브루스 리의 사망 할리우드를 넘어선 상징의 탄생1973년 7월 20일, 브루스 리(Bruce Lee, 李小龍)가 홍콩에서 세상을 떠났다. 불과 32세의 나이였다. 사망 원인을 두고 지금까지도 다양한 추측이 오가지만, 그보다 더 강한 인상을 남긴 것은 그의 죽음이 아니라 생애였다. 그는 단순한 액션 배우가 아니었다. 무술가이자 철학자이며, 문화적 아이콘으로서 몸의 언어로 세계와 대화한 예술가였다. 브루스 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서 출생했으며, 18세까지는 홍콩에서 자랐다. 영화배우였던 아버지 덕분에 아역 시절부터 홍콩 영화계에 모습을 드러냈고, 젊은 시절엔 무술 실력과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할리우드 진출을 시도했다. 그는 미국에서 《그린 호넷》(The Green Hornet)의 카토(Kato) 역으로 데뷔했지만.. 2025. 7. 9.
7월 19일 : 바그너의 최후작 - 《파르지팔》 초연 신화를 넘은 오페라, 바그너의 최후작1882년 7월 19일, 독일 바이에른주의 도시 바이로이트. 이곳에서 열린 공연은 단순한 오페라 초연이 아니었다.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는 자신의 예술 인생을 총결산하는 마지막 작품 《파르지팔》(Parsifal)을 세상에 선보였다. 이 오페라는 아서 왕 전설을 모티프로 삼아 인간의 구원, 동정심, 고통의 정화를 주제로 삼는다. 신화적 서사에 음악과 철학을 결합한 《파르지팔》은 바그너가 창조한 예술적 이상, 즉 ’총체예술(Gesamtkunstwerk)’의 궁극적인 형태로 여겨진다. 이 작품은 단순히 한 편의 오페라라기보다는 하나의 사상적 유산이자, 종교적 체험에 가까운 무대 예술로 평가된다. 바그너가 추구한 예술과 인생의 결합이 그 속에 담겨 있다... 2025. 7. 9.
7월 18일 : 시선의 혁명가 - 카라바조의 사망 빛과 어둠의 화가, 카라바조1610년 7월 18일, 이탈리아 포르토 에르콜레(Porto Ercole)의 어느 해변에서 한 화가가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이름은 카라바조(Caravaggio). 본명은 미켈란젤로 메리시(Michelangelo Merisi)였지만, 고향인 롬바르디아 지방의 작은 마을 이름을 따 ‘카라바조’라 불렸다. 그는 생전에 이미 논란의 중심에 있었고, 죽음 이후에는 거의 한 세기 넘게 예술사에서 잊힌 존재였다. 그러나 오늘날 그는 바로크 미술의 선구자, 그리고 어둠 속에서 빛을 창조한 화가로 기억된다. 카라바조의 생애는 단지 한 예술가의 궤적이라기보다는, 격동의 내면과 시대를 반영한 드라마였다. 그리고 그의 죽음은, 조용히 사라진 하나의 이름이 아닌, 바로크 회화의 어두운 기원을 말해주.. 2025. 7. 8.
7월 17일 : 《Strange Fruit》이 남긴 상처와 저항 - 빌리 홀리데이의 사망 고통 속에서 피어난 목소리1959년 7월 17일, 한 시대의 목소리가 침묵했다.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는 뉴욕 맨해튼의 메트로폴리탄 병원에서 향년 44세의 짧은 생을 마감했다. 사망 당시 그녀의 병실에는 단 70센트만이 남아 있었고, FBI의 지시에 따라 그녀는 중환자실 침대 위에서도 수갑이 채워진 채 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마지막 숨을 내쉬었다. 한때 세계적인 무대 위에서 찬사를 받던 재즈 디바가 맞이한 최후는 충격적이었고, 동시에 미국 사회의 어두운 이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건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의 목소리는 죽지 않았다. 빌리 홀리데이는 단순한 가수가 아니었다. 그녀는 억압과 차별, 절망 속에서 울려 퍼진 ‘살아 있는 증언’이었고, 그 목소리는 죽음 이후에도 끊임없이 회자하며.. 2025. 7. 8.
7월 16일 : 음표가 너무 많다? - 모차르트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구출》 초연 빈에서 울려 퍼진 모차르트의 ‘독일 오페라’ 선언1782년 7월 16일, 오스트리아 빈의 부르크 극장(Burgtheater)에서는 역사적인 공연이 열렸다. 26세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가 작곡한 독일어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구출(Die Entführung aus dem Serail)》가 처음 무대에 오른 것이다. 당시 이탈리아 오페라가 지배하던 유럽 음악계에서, 독일어로 된 오페라가 중심 무대에 오르는 일은 흔치 않았다. 그날 저녁, 빈 시민들은 웃음과 감동, 음악적 혁신이 가득한 작품을 마주하게 되었고, 모차르트는 ‘비엔나 시민의 작곡가’로서 첫 번째 확실한 성공을 거두었다. 징슈필의 형식, 독일 오페라의 실험《후궁으로부터의 구출》는 징슈필(Sin.. 2025. 7. 8.
7월 15일 : 인간성의 화가 - 렘브란트의 탄생 렘브란트의 탄생 : 네덜란드 황금시대를 수놓다1606년 7월 15일, 네덜란드 라이덴(Leiden)에서 렘브란트 하르먼손 판 레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이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17세기 초반의 네덜란드는 해상 무역을 바탕으로 유럽에서 가장 번영하던 지역 중 하나였다. 이른바 ‘네덜란드 황금시대’라 불리는 이 시기, 부르주아 계급은 막대한 부를 바탕으로 예술 작품을 적극적으로 수집했고, 렘브란트는 그 중심에서 가장 주목받는 화가로 부상했다. 렘브란트는 암스테르담에서 활동하던 역사화 화가 피터 라스트만(Pieter Lastman)의 제자로 수학하며 화가로서의 기초를 닦았다. 라스트만은 이탈리아에서 수련한 경험을 바탕으로 극적인 구도와 강한 감정을 묘사하는 방식을 강조했.. 2025. 7. 8.
7월 14일 : 황금의 화가 - 구스타브 클림트의 사망 황금으로 수놓은 삶의 미학1918년 7월 14일, 오스트리아 빈(Wien)에서 ‘황금의 화가’ 구스타브 클림트(Gustav Klimt, 1862–1918)가 5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유럽을 뒤흔든 스페인 독감 팬데믹의 여파 속에 맞은 그의 죽음은 단지 한 예술가의 타계만이 아니었다. 클림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기 직전의 시대를 가장 화려하고 도발적인 색채로 그려낸 상징적 인물이었다. 그의 죽음은 황금빛으로 수 놓인 한 시대의 종말을 의미했다. 클림트는 평생 제도화된 미술 교육과 고전주의적 권위에 저항했다. 그는 빈 미술 아카데미의 교육을 받았지만, 그가 추구한 예술은 더 이상 역사화나 초상화의 틀에 갇힐 수 없었다. 그는 삶과 죽음, 성과 억압, 아름다움과 퇴폐라는 경계를 넘나드는 시.. 2025. 7. 8.